꼬묘나라

타이포그래피의 기본과 활용 – 폰트는 디자인의 말투다 본문

디자인,컬러

타이포그래피의 기본과 활용 – 폰트는 디자인의 말투다

꼬묘7608 2025. 3. 26. 02:46

디자인에서 텍스트는 정보이지만, 동시에 이미지이기도 합니다.
어떤 폰트를 선택하고, 어떻게 배치하느냐에 따라 디자인의 분위기와 전달력이 완전히 달라지죠.
이번 글에서는 타이포그래피의 핵심 개념과 실무 활용법을 알려드릴게요.

 

1. 타이포그래피란?

타이포그래피는 글자의 배열, 조형, 구성 방식을 말합니다.
단순히 "글씨 예쁘게 쓰기"가 아니라, 정보 전달 + 감성 표현을 동시에 담당하죠.
좋은 타이포그래피는 눈에 잘 띄고, 내용을 쉽게 읽히게 만들며, 시각적 균형까지 챙깁니다.

2. 폰트의 종류와 특징

폰트는 성격이 다릅니다.
상황에 따라 적절한 폰트를 고르는 게 핵심이에요.

  • 세리프 Serif (명조체)
    고전적, 신뢰감, 정돈된 느낌 → 출판, 문서 등
  • 산세리프 Sans Serif (고딕체)
    깔끔함, 현대적, 가독성 우수 → 웹, UI, 광고
  • 디스플레이체 (장식용 폰트)
    개성 강함, 감성 전달 → 제목, 포스터, 브랜딩

 

3. 타이포그래피 실무 적용법

텍스트는 디자인 안에서 ‘정보 구조’를 만들고, ‘시선 흐름’을 유도하는 역할을 합니다.

1) 계층 구조(Hierarchy) 만들기
– 제목 > 부제 > 본문 순으로 명확하게 크기와 굵기를 차별화
– 같은 정보 레벨은 같은 스타일 유지

2) 정렬 방식 활용
– 좌측 정렬: 가장 기본적, 깔끔
– 중앙 정렬: 균형감 있지만 과용 주의
– 우측 정렬: 포인트 강조 시 적절

 

 

4. 잘 읽히는 텍스트를 만드는 팁

  • 자간: 글자 사이 간격. 너무 좁으면 답답하고, 너무 넓으면 흐트러짐
  • 행간: 줄 간격. 기본은 글자 크기의 140~160%
  • 문단 길이: 2~4줄 이내로 끊어 읽기 편하게
  • 가독성 고려: 배경색과 텍스트 색 대비 필수

 

5. 실전 적용 예시: 포스터에서의 타이포그래피

아래 포스터 예시는 타이포그래피만으로 분위기와 정보를 효과적으로 표현한 사례입니다.

  • 디스플레이체로 제목 강조
  • 산세리프체로 깔끔한 본문 구성
  • 정보의 우선순위를 계층적으로 정리

✅ 마무리 정리

타이포그래피는 “글씨를 디자인하는 기술” 그 이상입니다.
디자이너의 감각과 이성이 동시에 필요한 영역이죠.
다음 글에서는 “레이아웃 구성의 기본”을 소개할 예정이에요.

글과 글 사이의 배치를 고민해보고 싶다면 기대해주세요!